python의 자료형 중 숫자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1. 연산자를 이용한 계산
○ 숫자형 연산자
연산자 | 설명 |
+ | 더하기 |
- | 빼기 |
* | 곱하기 |
/ | 나누기 |
// | 나누기 결과의 몫 |
% | 나누기 결과의 나머지 |
위 연산자를 이용하여 계산을 해보겠습니다.
# 선언
i1 = 10
i2 = 3
f1 = 3.141592
f2 = 1.23456789
# 연산
print("i1 + i2 : ", i1 + i2)
print("f1 + f2 : ", f1 + f2)
print("i1 + f2 : ", i1 + f2)
print("i1 - i2 : ", i1 - i2)
print("i1 * i2 : ", i1 * i2)
print("i1 / i2 : ", i1 / i2)
print("i1 // i2 : ", i1 // i2)
print("i1 % i2 : ", i1 % i2)
==============결과================
i1 + i2 : 13
f1 + f2 : 4.37615989
i1 + f2 : 11.23456789
i1 - i2 : 7
i1 * i2 : 30
i1 / i2 : 3.3333333333333335
i1 // i2 : 3
i1 % i2 : 1
2. 연산자 함수를 이용한 계산
○ 연산자 함수
연산자 | 설명 |
divmod(x,y) |
몫과 나머지 |
abs(x) | 절대값 |
pow(x,y) | x의 y 제곱(x**y) |
위 함수를 이용하여 계산해 보겠습니다.
x, y = divmod(10, 3)
print(x,y)
print(abs(-7))
print(pow(2,3))
============결과=============
3 1
7
8
3. 외부 모듈을 이용한 계산
우선 외부 모듈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math 모듈을 import 해야 합니다.
import math
math 모듈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는 것들이 많이 있지만 간단하게 2가지 정도만 알아보겠습니다.
- math.ceil(x) : x 이상의 수 중 가장 큰 정수 구하기
- math.pi : pi 값 구하기
import math
print(math.ceil(10.1))
print(math.pi)
==============결과===============
11
3.141592653589793
'Language > 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08. python 자료형 - 리스트 (0) | 2019.12.14 |
---|---|
07. python 자료형 - 문자열 (0) | 2019.12.10 |
05. python - 비교 연산자 & 논리 연산자 (0) | 2019.11.16 |
04. python 지원 자료형 (0) | 2019.09.19 |
03. python - print() (0) | 2019.09.19 |